“모유는 도대체 언제까지 나오는 걸까?”
출산 후 얼마간 모유가 나오는지, 언제 멈추는지, 혹은 너무 많이 나오거나 심지어 임신하지 않았는데도 분비되는 경우까지… 많은 분들이 궁금해합니다.

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궁금증을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:
- ✅ 모유는 출산 후 언제부터 나오고, 언제까지 나오는지?
- ✅ 자연스럽게 멈추는 시기와 징후는?
- ✅ 너무 많이 나올 때 대처 방법은?
- ✅ 임신을 안 했는데도 모유가 나올 수 있을까?
🍼 모유는 언제부터 언제까지 나오나요?
출산 직후 1~3일 이내에 초유가 분비되기 시작합니다. 이후 약 3~5일이 지나면 진한 노란빛의 초유에서 맑고 연한 성숙유로 전환됩니다.
수유를 계속하면 보통 6개월~2년 이상도 모유가 유지될 수 있어요.
이는 수유 빈도와 호르몬 분비(프롤락틴)에 따라 다릅니다.
⏱ 출산 후 모유가 멈추는 시기
수유를 중단하면 약 2~3주 내에 자연적으로 분비가 줄고 멈춥니다.
단, 유축이나 젖병 수유를 병행하면 더 길게 분비되기도 합니다.
- 수유 중단 후 2~7일 → 유방에 뻐근함, 뭉침 느낌
- 그 이후 2~3주 → 점차 말라가며 더 이상 유즙 생성 없음
모유를 끊는 시기에는 수유 브래지어 착용, 차가운 팩, 카페인/파슬리 섭취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.
💦 모유가 너무 많이 나올 때 대처법
모유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유방이 단단하게 뭉치거나, 아기가 흘리며 먹는 경우도 있어요.
- 수유 전 유방 마사지로 분비 조절
- 한쪽만 수유하고 다음 수유 때 반대쪽으로 변경
- 유축기로 적당량 빼기 – 완전 비우면 더 많이 생김!
지속적으로 과다 분비가 되면 모유조절 한약이나 전문의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❓ 임신 안 했는데 모유가 나와요
이는 드물지만 실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유즙분비증(갈락토레아)이라고 합니다.
출산이나 수유 경험이 없어도 호르몬 이상(프롤락틴 과다)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.
- 가슴 자극이 반복되었을 때
- 스트레스, 수면 부족 등도 영향
- 뇌하수체 종양(드물게) 가능성 있어 혈액검사 권장
임신이 아닌데도 모유가 분비된다면 산부인과 또는 내분비 내과 방문이 필요합니다.
📌 결론
모유는 출산 후 몇 년간 유지될 수 있는 자연의 선물입니다.
하지만 지나친 분비, 예상치 못한 분비가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해요.
너무 걱정하지 마세요. 몸이 보내는 신호를 잘 읽고,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.